[DevOps] Istio Traffic Tracing : Kiali

안녕하세요? 정리하는 개발자 워니즈입니다. 이번시간에는 Kiali라는 툴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려고 합니다. DevOps 엔지니어로서 가장 중점을 두는 부분은 모니터링영역입니다. (물론 개인적인 생각입니다.) 모니터링을 잘 구성해두고 철저히…

[DevOps] K8S Resource 최적화 사례

안녕하세요? 정리하는 개발자 워니즈입니다. 이번시간에는 k8s의 리소스 최적화 사례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려고 하빈다. 필자가 근무하는 프로젝트에서는 k8s를 직접 구축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. 그런데, Worker Node에서 CPU…

[DevOps] Docker Build Pipeline 구성하기

안녕하세요? 정리하는 개발자 워니즈입니다. 이번시간에는 Docker Build Pipeline 구성하기에 대해서 정리를 하려고 합니다. 필자가 회사를 이직한지도 어느덧 5개월(5개월시점에 작성한 글입니다.) 정도 되고 있습니다. 이곳에서 k8s를…

[DevOps] k8s Horizontal POD autoscaling

안녕하세요 정리하는 개발자 워니즈입니다. 이번시간에는 쿠버네티스의 Pod의 Autoscaling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. HorizontalPodAutoscaler(HPA)는 CPU, 메모리 사용률 또는 일부 사용자 지정 메트릭을 기반으로 포드…

[Kubernetes] k8s master 서버 HA 구성하기

안녕하세요? 정리하는 개발자 워니즈입니다. 이번시간에는 k8s master 서버의 가용성 환경 구성에 대해서 정리를 하고자 합니다. 필자는 kubespray를 통해서 cluster를 구축을 했는데요. 특별히 별도의 설정을 하지…

[DevOps] python boto3 s3 upload 작성

안녕하세요? 정리하는 개발자 워니즈입니다. 이번시간에는 간단한 python script에 대해서 소개를 하려고 합니다. 파이썬은 필자가 관심도 많고 즐겨서 사용하는 언어입니다. 그러다보니 손쉽게 활용해서 무엇인가를 만들때 자주…

[DevOps] k8s에서의 모니터링 구성

안녕하세요? 정리하는 개발자 워니즈입니다. 이번시간에는 k8s에서의 모니터링 구성은 어떤식으로 하는지 그리고 어떤 내용들을 모니터링의 대상으로 정하는지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. 필자가 속한 프로젝트에서는 기존에 k8s에서의…

[DevOps] k8s Log 수집 시스템 구성

안녕하세요? 정리하는 개발자 워니즈입니다. 이번시간에는 k8s에서의 로그 수집에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. 작년에 포스팅했던 글 중에서 k8s에서의 로깅이 어떤식으로 이뤄지는지에 대해서 정리한 내용이 있습니다. 로그…

[DevOps] Nginx ingress 사용해보기

안녕하세요? 정리하는 개발자 워니즈입니다. 이번시간에는 Nginx Ingress Controller에 대해서 정리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. 필자가 속한 프로젝트에서는 기존에 별도의 Ingress Layer가 존재하지 않았습니다. 그러다보니 매번 어플리케이션의…